2010년 10월 23일 토요일

10월 23일 기획, 적응 , 기획

 새로이 계획을 세워서 일주일간 해보았다. 전체적으로 토익스피킹과 컴활 실기 1급 , 무역 인턴 혹은 정규직을 목표로 하반기를 보내고자 한다. 그런데 며칠 해보니 문제점이 보인다. 일단 토스는 무조건 말하면서 익혀야 하는데 집에 있으니 에너지가 급속도로 떨어진다. 또한 세가지의 목표가 있고 인턴같은 이벤트성 계획이 있다보니 프로세스가 일정치 않다. 50일에 토익 900찍었을 때는 정말 머리가 안다기보다 몸이 알도록 공부를 했었는데 지금은 여의치가 않다.
 이렇게 계획이 흐트러지면서 몇가지 깨달은 것이 있다. 일단 나는 방향만 설정해야지 시간까지 설정하면 상당히 힘들어진다는 것이다. 처음에 마일스톤까지 설정해서 해보려 했지만 확실히 이렇게 목표가 중첩되어 있을 때는 힘든 일이다. 둘째로 세상 사는 것이 기획하고 적응하고 기획하는 것의 연속이라는 것이다. 기획하면 또 몇가지가 요건이 바뀌고 또 그것에 맞춰서 기획해야한다. 힘든 일 같지만 사는 것 자체가 그런 듯 하다.
 참 요즘에는 여러 생각들이 머리에 스친다. 하루하루 시간 가는 것도 참 빠르다.

2010년 10월 20일 수요일

배열수식 이해하기

배열수식 전반
http://www.cyworld.com/bit_by_bit/3590499

배열수식의 의미
http://www.mgoon.com/view.htm?id=1433701
배열수식 조건 하나
http://www.mgoon.com/view.htm?id=3251925




 내 실기 1급을 날려버린 배열수식 썩을 놈.

2010년 10월 16일 토요일

10월 16일 임계점

노력에도 임계점이 있을 것이다. 여태까지 불을 붙이지 못한 채 성냥만 부러뜨려 먹었다. 힘을 제대로 쓰지 않았고, 끝까지 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반성하고 노력해야할 때다.


2010년 10월 13일 수요일

10월 12일

 계속 막히니 자신감이 떨어지고 하기가 싫어진다. 자격증과 토익스피킹이라도 준비해야할 것 같다. 새로운 길을 찾아보기 위해 이리저리 고민 중이다. 7월부터 계속해서 달려왔다. 50일 동안 공부해서 토익 900 만들었고 8월 후반부터는 컴퓨터 자격증을 공부했으나 실기는 떨어졌다. 9월 초부터는 계속해서 자기소개서쓰기에 열중했지만 여태까지 23개 그룹 중 16군데 떨어졌다. 실패를 했으니 이를 본보기 삼아 새로운 것에 도전해 봐야한다. 내 성격상 길게 넘어가는 일은 할 수 없다. 토익스피킹이든 일이든 새로운 공부와 일에 도전할 때이다.

2010년 10월 11일 월요일

MBTI 자기테스트

MBTI 성격유형검사
ISTJ (세상의 소금형 - 대한민국 20%)
ISFJ (임금 뒤편의 권력형 - 대한민국 11%)
ISTP (백과사전형 - 대한민국 11%)
ESTJ (사업가형 - 대한민국 11%)
INTJ (과학자형 - 대한민국 7%)
ESTP (수완 좋은 활동가형 - 대한민국 6%)
ESFJ (친선도모형 - 대한민국 6%)
ISFP (성인군자형 - 대한민국 6%)
INTP (아이디어 뱅크형 - 대한민국 4%)
ENTJ (지도자형 - 대한민국 4%)
INFJ (예언자형 - 대한민국 4%)
ESFP (사교적인 유형 - 대한민국 3%)
ENFJ (언변능숙형 - 대한민국 2%)
INFP (잔다르크형 - 대한민국 2%)
ENTP (발명가형 - 대한민국 2%)
ENFP (스파크형 - 대한민국 1%)

 클릭


 내 경우는 ESFP  
 근데 정말 잘 맞는거 같아서 신통;;


2010년 10월 10일 일요일

10월 9일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 자기소개서를 쓰기 위해 자료를 검색해봤다. 묻지마 지원을 하다 보니 점점 산업에 대한 이해가 되는 느낌이다. 하루 종일 기사 검색을 하다보면 그 산업에 대한 윤곽을 알 수 있다. 영화사업의 경우 1900년대 중반부터 멀티플렉스라는 플랫폼의 확대와 함께 관객수가 계속 늘었는데 이제는 조정기에 들어간 듯하다. CJ는 중국진출을 하고 있고 롯데는 베트남 쪽부터 진출 하고 있다.

밤에는 오랜만에 대학 동기와 이야기를 나눴다. 나름 화장품 대기업에 간 친구인데 무척이나 힘든 듯하다. 참 들어가도 힘들고 못 들어가도 힘들다.

2010년 10월 8일 금요일

10월 7일 자소서 스트레스의 근원

어제는 이수그룹의 자소서를 쓰다가 정말 쓰기 싫은 기분이 들었다. 결국엔 시간만 하루 종일 보내고 말았는데 왜 그런가 곰곰이 생각해보니 내 글 속에 문제점이 있었다. 자꾸 묻지마 지원을 하다 보니 기업 공부를 충실히 하지 못했고 그만큼 지원동기와 포부 자체가 조잡했던 것이다. 예전에 리포트를 너무 이상하게 쓰면 스트레스 받는 게 있었는데 그것과 유사한 듯하다. 대충 9월 10일부터 자소서를 쓰기 시작했으니 한 달 만에 발견한 것이다. 이것도 시행착오 중 하나일 테지.

여자 친구랑 통화하다가 매일경제 기사이야기가 나왔다. 취업 성공한 사람 이야기였는데 그 기업에 대한 원료들을 철저히 분석하고 기사도 3년 치를 꼼꼼히 스크랩 해 두었다고 한다. 결국 자소서에는 그 원료들을 자기로 비유해 '99퍼센트의 ~~ 성분을 통한 자신감' 따위의 식으로 글을 썼다고 한다. 상상력도 대단하지만 이전에 성실성이 상상력과 소재를 만들었을 것이다.

이제부터는 적어도 4일 정도는 시간의 여유를 두고 충실하게 기업과 직무에 대한 고민을 한 후 써야겠다. 되지도 않을 것 같은 이력서를 던져 넣으면 스스로가 스트레스를 견뎌내지 못할 것 같다.